Firebase는 2011년 모바일 및 웹 어플리케이션 개발 플랫폼으로 서비스를 시작했으며, 이후 플랫폼이가진 편의성과 잠재력을 인정받으면서 2014년 구글과 합쳐지게 되었다. 구글의 목표는 Firebase를 통해 점점 커지는 모바일 부문의 니즈에 대응하고, 애널리틱스 기능을 강화하기 위함이었다. 그리고 현재 Firebase는 구글의 앱 사용 및 사용자 참여도에 대한 통계를 제공하는 무료 앱 측정 솔루션으로써, 그 자체의 파워풀한 앱 운영 기능 뿐만 아니라 Google Adwords와의 연동을 통한 앱 광고를 위해서 국내외로 그 사용이 급증하고 있다. (구글은 18.3월 이후 모바일앱 추적 방식으로 Firebase를 공식적으로 권장하고 있다!)
Firebase의 장점을 살펴보면, 우선 웹 또는 모바일 개발에 필요한 기능을 제공하는 BaaS (Backend as a Service)의 일종으로 개발에 공통적으로 필요한 기능들을 선택적으로 투입할 수 있고 클라우드의 형태로 서비스가 제공되므로 범용성 및 이식성이 좋다. 또한 원격 클라우드 서버를 제공하며 Firebase를 통해 손쉽게 데이터를 저장하고 불러올 수 있고, 한 곳에서 데이터 및 보고서, 이벤트 등을 조회함으로써 본래 태생적 목표에 맞게 개발의 효율성 증대할 수 있다.
이외에 분석 및 운영 측면에서는 아래와 같은 장점을 꼽을 수 있다.
– 무제한 보고 (최대 500개의 고유 이벤트에 대한)
– 잠재고객 분류 (기기 데이터, 맞춤 이벤트 또는 사용자 속성을 기준으로 맞춤 잠재고객을 정의 가능)
– 타겟팅된 알림 메시지 및 신규 버전 배포 가능
Firebase를 시작하기 위해서는 Firebase프로젝트를 생성한 후 만든 프로젝트로 들어가서, 앱 운영체제에 따라 iOS앱, Android앱, 웹 앱 중 한 개를 선택한다.
iOS앱이라면 iOS 앱에 Firebase 추가를 선택해서 차례대로 진행을 한다. 각 항목의 물음표 표시를 클릭하면 항목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나와있다. 참조해서 따라서 작성하면 된다. 앱 등록 -> 구성 파일 다운로드 -> Firebase SDK 추가 -> 초기화 코드 추가 -> 앱을 실행하여 설치 확인 단계를 거치면 완료된다.
웹 앱의 경우는 웹 앱에 Firebase 추가를 누르면, 나오는 코드를 복사해서 index.html에 붙여 넣는다.
Firebase프로젝트를 생성하지 않아도, Explore a demo project를 누르면 Firebase를 경험할 수 있다.
Firebase를 사용하기 위해 Firebase의 기능을 살펴보면, Firebase Analytics, Cloud Messaging, Dynamic Link, Remote Config, Firebase App Indexing이 있다.
먼저 Firebase Analytics는 앱 사용자 분석을 할 수 있고, Firebase SDK를 앱에 통합하면 기본 앱 사용 데이터가 자동으로 수집되어, Google Analytics 및 firebase용 Google Analytics 사용 가능하다.
코드를 추가하지 않아도 최초 실행, 세션 시작, 인 앱 구매 등이 이벤트에 대한 데이터를 자동으로 수집한다.
Firebase Analytics와 Google Analytics의 공통점은 Analytics SDK를 지원하고 있고, 앱 사용자 분석을 할 수 있다. 차이점은 Firebase Analytics는 사용자 및 이벤트 중심 설계되었고, 전체 데이터를 수집하여 처리하고, BigQuery에 연결할 수 있고, Google Analytics는 패이지 뷰, 화면 뷰, 세션 중심 설계되었고, 샘플 데이터를 수집하여 처리하고,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Firebase SDK를 앱에 통합하면, Firebase Console 이나 Google Analytics를 통해 보고서를 조회할 수 있다. Google Analytics를 통해 보고서를 확인하는 방법은 Google Analytics에 로그인해서 App 속성으로 이동해서 모바일 엡 클릭한 후 앱 연결 확인해서 Google Analytics에서 보고서를 확인한다.
Firebase는 Firebase Console에서 보고서 탐색 메뉴에서 대시보트, 이벤트, 잠재고객 등 확인할 보고서를 선택한다. Firebase는 모든 데이터를 Event형태로 수집하여 기본적으로 사용자가 광고를 클릭할 때 ad_click, 앱 설치 또는 재설치후 사용자가 처음으로 앱을 실행한 시점 first_open 등과 같이 기본 이벤트를 자동으로 수집한다.
ad_click 이벤트에 클릭하면, 이벤트 세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앱 분석 대상은 4가지 주요 부분인 이벤트, 전환, 사용자 속성, 잠재 고객 외에도 Dashboard, Funnels, Latest Release , Retention, SteamView, DebugView 등이 있다.
그 다음, Cloud Messaging은 Firebase의 Cloud Message(Notification)을 통해 Push Message를 전송이 가능하다. Analytics에서 생성한 사전 정의된 고객을 사용하여 메시지를 보냄으로써 사용자에게 맞춤 타겟팅이 가능하다.
Notification에서 고객 반응 퍼널을 확인할 수 있다.
Dynamic Link는 Firebase의 Dynamic Link를 통해 웹에서 고객을 App의 특정 Content로 이동시킬 수 있다.
Remote Config는 배포없이 원격으로 콘솔에서 모양과 느낌에 변화를 주거나 기능을 단계적으로 출시, A/B 테스트 실행, 특정 사용자에게 맞춤 콘텐츠 제공 가능하다.
Firebase App Indexing은 사용자가 Google 검색 결과를 클릭해 앱 시작 가능하고, Google에서 무언가를 검색한 경우, 앱이 사용자의 질문과 연관성 높은 콘텐츠를 제공한다면검색 결과를 바로 클릭해 앱 실행 가능하다.
Firebase 요금제는 아래와 같다.
About The Author: Mhkr_admin
More posts by mhkr_admin